1. RMF(Risk Management Framework)의 개요
- 정의: 조직이 직면한 사이버 위협을 구조적으로 식별, 분석, 완화하는 체계적 접근 방식.
- 필요성: 국방, 금융, 의료, 에너지 등 국가 기반 인프라의 보안 위협이 국가 안보와 직결됨.
- 기술환경 변화: 빠른 기술 발전과 위협 증가에 따라 위험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
2. 국제 RMF 동향
(1) 미국 NIST RMF
- 개발 배경: 2014년 미국 NIST가 개발, 연방정부와 군, 민간 기업까지 적용 가능.
- 특징:
- 조직별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유연성.
- 7단계 구성: 준비 → 시스템 분류 → 보안통제항목 선정 → 구현 → 평가 → 인가 → 모니터링
- 준비 제외 6단계는 정보체계 생애주기 동안 반복 수행.
(2) 기타 국제 표준
ISO 27001 |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기반 국제 표준 |
ISO 27005 | ISO 27001 보완, 사이버보안 위험관리 구체화 |
ISO 31000 | 모든 조직에 적용 가능한 전사적 위험관리 표준 |
NIST CSF | 중요 인프라 보호 중심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
COSO ERM | 전략/재무 중심 전사적 위험관리 프레임워크 |
3. 국내 RMF 동향
(1) 국방부의 K-RMF
- 출발: 2020년부터 국방부 주도로 개발.
- 시행: 2024년 하반기 시작, 2026년부터 전면 시행 예정.
- 배경: 미국 DoD가 동맹국에 RMF 적용 요구.
- 6단계 구성: 보안분류 → 통제항목 선정 → 구현 → 평가 → 인가 → 모니터링.
- 특징: 무기체계 수명주기 전 과정에 적용, 북한 등 위협에 대응한 맞춤형 체계.
(2) 민간 확산 노력
- 한국정보보호학회 RMF 연구회: ‘위험관리 및 보안 평가 워크숍’ 개최로 산·학·연·군 확산 노력.
- 곽진 교수(아주대): "K-RMF는 국내 보안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 기회."
- TTA AI신뢰성센터: 과기정통부 지원으로 GPAI(범용 AI) 위험관리 프레임워크 연구 수행.
- ISO 31000 기반, 확장성과 국제 호환성 고려.
4. RMF의 발전 방향
(1) 기술 융합 및 확장성
- AI,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신기술과 융합 가능.
- 우주보안 적용 연구: 러-우 전쟁 사례에서 확인된 기술 안보의 중요성.
(2) 국제 표준과의 조화
- 과제: K-RMF의 국제적 상호운용성 확보 필요.
- 방향: NIST, ISO 등과의 조화 추구.
5. 결론 및 전망
- RMF는 전략 도구:
- 단순 규제 준수를 넘어 조직 회복력 강화 및 지속 성장 지원.
- 한국의 기회:
- K-RMF 기반 보안 생태계 구축 시 국내 보안 기업의 글로벌 진출 발판 마련.
- 필수 조건:
- 산·학·연·군 협력
- 국제 표준 조화
- 국내 특화 체계 구축 및 기술 연구 지속
🔍 핵심 문장 요약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는 디지털 시대 조직의 생존을 위한 핵심 전략이며, K-RMF는 한국형 보안관리 체계로서 국내외 보안 수준 향상과 보안 산업 성장의 발판이 될 것이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7410
[한국정보보호학회 칼럼] 위험관리 프레임워크, 디지털 시대의 필수적 위험관리 도구
현대 사이버보안 환경에서 위험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급속한 기술 발전과 복잡해지는 사이버 위협 속에서, 조직은 잠재적 위협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
www.boannews.com
'정보보안 >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5.26., [한국정보공학기술사 보안을 論하다-16] 금융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의 중요성 (0) | 2025.05.28 |
---|---|
2025.5.27., [PIS FAIR 2025] AI냐, 프라이버시냐...양날의 검 (0) | 2025.05.28 |
2025.5.22., 카스퍼스키 “AI가 랜섬웨어 피해 가속화” (0) | 2025.05.23 |
2025.5.22., [일본] e-Tax 사기 사건: 17세 사이버 범죄 조직 리더 체포 (0) | 2025.05.23 |
2025.5.21., SKT 공격한 악성코드 BPF도어, KT 서버도 침투했나 (0)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