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카드 3사 개인정보 유출 사건
📅 사건 개요
- 발생 시점: 2014년 1월 보도, 실제 유출은 2012~2013년 사이 진행
- 유출 규모: 총 1억 400만 건 (약 1,040만 명)
🧑💻 범인은 누구?
- **신용평가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전산 외주 용역 직원이
→ 카드사 내부 전산 시스템에 접근
→ 고객 정보를 USB에 저장해 유출
유출된 정보:
-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신용등급, 카드번호 일부, 계좌번호, 직장정보 등…
🔥 사실상 “실명 인증된 개인의 모든 정보”가 빠져나간 수준이었어요.
😱 왜 충격적이었나?
- **내부자(협력업체 직원)**가 유출한 점
- 1,000만 명 이상 피해는 역대 최대
- 금융권의 보안 신뢰도가 완전히 붕괴됨
- "주민번호를 더 이상 믿을 수 없다"는 여론 폭발
⚖️ 그래서 어떤 변화가 생겼나?
📌 법 개정 및 제도 변화
- ▶️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2014~2015년):
- 대통령 소속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총괄·조정 권한 강화
-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 고의·중과실 시 손해액의 최대 3배까지 배상
- 법정 손해배상제 도입: 실제 피해 입증 없어도 일정 금액 배상 가능
- 불법 유통 수익 몰수·추징 가능
- 영리 목적 유출 시 형사처벌 강화
📌 실무 변화
- 카드사 및 금융권: 외주 인력 접근 제한 강화
- 공공기관 및 민간: 주민번호 수집 금지 전면화 (2014년 8월 시행)
'개인정보 > ♥개인정보 보호 법령 및 지침, 고시 해설서(2020.1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의 내용·형태 등은 특별한 제한이 없어서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모든 정보가 개인정보? (0) | 2025.04.16 |
---|---|
휴대전화번호 뒤 4자리 (0) | 2025.04.16 |
개인정보자기결정권 (0) | 2025.04.16 |
2014.3.24., “처리”에 대한 정의에서 "개인정보 보호에 관하여는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로 두루뭉술하게 개정된 이유 (0) | 2025.04.16 |
2014.3.24., "개인정보의 수집·유출·오용·남용"이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호에 관한 사항"으로 두루뭉술하게 개정된 이유 (0) | 2025.04.16 |